하와이 조개, 돌 5월에 하와이로 여행을 가는데요 하와이 해변에 있는 모래나 조개나 돌
해외여행 몽골 5박 패키지 80만원대면 적당한가요? 6인기준 1인당고비사막 패키지입니다
일본 유학 비자 재신청 성적 안녕하세요 이번에 군대다녀와서 유학 비자를 재신청하려고 하는데 제가 성적이 많이
지마켓 환불 지마켓에서 해외배송으로 에어팟 프로2 새상품을 해외배송으로 주문했는데 중고 에어팟 프로1이
옛날 재밌게 했던 로블록스 게임 제목을 찾아주세요 일단 로봇펫이고그리고 스테이지마다 보스가 있고그 보스를 죽이고 코인을 모으면로켓을타고 우주로
해외여행가는데 skt 유심교체 해외여행가서 해외유심을 쓸건데 유심교체해야하나요.

중소여행사가 리조트,호텔숙박권을 팔수있는이유? 대형 리조트, 대형호텔 숙박권을 네이버에 검색하면 소규모 온라인여행사를 운영하는사람이 판매를

2025. 4. 1. 오전 8:31:04

중소여행사가 리조트,호텔숙박권을 팔수있는이유? 대형 리조트, 대형호텔 숙박권을 네이버에 검색하면 소규모 온라인여행사를 운영하는사람이 판매를

대형 리조트, 대형호텔 숙박권을 네이버에 검색하면 소규모 온라인여행사를 운영하는사람이 판매를 하고있는데..

소규모 온라인 여행사(OTA, Online Travel Agency)들이 대형 리조트나 호텔 숙박권을 판매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대형 도매여행사(Wholesaler)나 GDS를 통한 확보

소규모 OTA들은 직접 호텔과 계약하기 어려우므로, 대형 도매여행사(랜드사)나 GDS(Global Distribution System) 를 통해 객실을 확보합니다.

  • GDS(예: Amadeus, Sabre, Travelport): 항공, 호텔, 렌터카 등의 글로벌 예약 시스템으로, 여행사들이 이를 통해 객실을 가져옵니다.

  • 대형 도매여행사(예: Hotelbeds, Webbeds, TBO Holidays 등): 전 세계 호텔과 계약한 도매업체에서 객실을 공급받고, 소규모 여행사들이 이를 다시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호텔이 직접 A라는 도매업체와 계약하면, A가 다시 B라는 소규모 여행사에 객실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2. 법인·단체·기업용 숙박권 재판매

일부 소규모 여행사는 대형 리조트나 호텔이 기업이나 단체에 제공하는 특가 객실(법인 요금, 기업 계약 요금, 단체 요금) 을 확보하여 다시 판매하기도 합니다.

  • 호텔이 기업이나 법인 고객을 대상으로 대량으로 판매하는 객실을 여행사가 확보하여 개인 고객에게 재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공식적으로는 "양도 금지" 조항이 있을 수 있지만, 회색지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어, 대기업 임직원용으로 판매된 숙박권을 OTA가 우회적으로 일반 고객에게 파는 식입니다.

3. 회원권·바우처·리셀링(Reselling) 활용

일부 리조트나 호텔은 회원권 시스템(타임쉐어 포함) 또는 바우처를 운영하는데, 이를 개인 또는 여행사가 구매하여 다시 판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리조트에서 연간 회원권을 구매한 뒤, 숙박일을 개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호텔 프로모션이나 비공개 특가(Closed User Group Deals) 를 활용하여, 특정 조건의 객실을 싸게 확보한 후 판매하기도 합니다.

➡️ 이 경우, 공식적인 예약 경로가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호텔에 문의했을 때 예약이 확인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삭제됨]사·플랫폼 제휴 및 마케팅 딜 활용

일부 소규모 여행사는 [삭제됨]사, 포인트몰, 네이버페이, 쿠팡 등의 제휴 상품을 통해 숙박권을 확보합니다.

  • 호텔들이 자체적으로 쿠폰·상품권 형태로 [삭제됨]사나 특정 플랫폼에 판매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다시 OTA가 가져와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또한, 네이버 예약, 카카오톡 선물하기, 쿠팡 여행 특가 상품 등에 입점된 상품을 활용해 재판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삭제됨]사 VIP 고객 대상 숙박권"이 특정 플랫폼에서 판매되지만, 이를 여행사가 다시 가져와 개인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습니다.

5. OTA끼리 가격차이(아비트라지, Arbitrage) 이용

일부 소규모 여행사는 대형 OTA(예: 익스피디아, 아고다, 부킹닷컴)의 가격 차이를 활용하여, 더 저렴한 OTA에서 예약한 뒤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A OTA에서 10만 원에 판매되는 호텔 숙박권을 B OTA에서 12만 원에 판매하는 경우, A에서 예약 후 B에서 고객에게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이를 "B2B2C 모델" 이라고 하며, 중간 마진을 챙기는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소규모 여행사가 아고다에서 객실을 예약한 후 네이버에서 직접 판매하는 식입니다.

결론

소규모 여행사가 대형 호텔·리조트 숙박권을 판매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중간 도매 유통망(Wholesaler, GDS, 기업용 바우처 등) 을 활용하거나, OTA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구조입니다.

주의할 점

  • 일부 비공식 경로를 통한 예약은 호텔 공식 시스템에서 조회되지 않을 수 있음

  • 네이버, SNS 등을 통한 "초특가 숙박권" 판매는 [삭제됨]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예약 가능 여부를 호텔 측에 직접 확인하는 것이 중요

소규모 여행사가 판매한다고 해서 무조건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공식적인 OTA와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경로인지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